top of page

포스텍∙부경대∙UNIST, 3D 채널 유기전기화학 트랜지스터로 고주파 신경 신호 측정 성공

  • hamsy010202
  • 10월 1일
  • 1분 분량

[기사 중 발췌]

포스텍(POSTECH)은 정성준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신경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 소자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왼쪽부터)신소재공학과·IT융합공학과 정성준 교수, IT융합공학과 이용우 박사, 신소재공학과 박성준 박사과정생, 전기전자공학과 권지민 조교수, 부경대 스마트헬스케어학부 송강일 조교수
(왼쪽부터)신소재공학과·IT융합공학과 정성준 교수, IT융합공학과 이용우 박사, 신소재공학과 박성준 박사과정생, 전기전자공학과 권지민 조교수, 부경대 스마트헬스케어학부 송강일 조교수

(중략)

그 결과, 기존 평면 구조 채널 소자와 달리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는 ㎑(킬로헤르츠) 수준의 미세한 말초 신경 신호를 정확하게 잡아낼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정밀 신경 신호 측정과 차세대 생체 의료 기기 개발에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평면 구조와 3차원 구조 기반 유기전기화학 트랜지스터의 모식도 및 동작 메커니즘
평면 구조와 3차원 구조 기반 유기전기화학 트랜지스터의 모식도 및 동작 메커니즘

정성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유기전기화학 트랜지스터 한계를 뛰어넘어, 생체친화적이면서도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신경 인터페이스 기술의 핵심 플랫폼으로 활용되기를 바란다”라며, “또 이 기술은 특정 재료나 공정에 국한되지 않아 다른 기술과 결합하면 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전자신문-정재훈 기자 (2025.09.30) click

KPI뉴스-장영태 기자 (2025.09.30) click

이코노미 사이언스-신지원 기자 (2025.09.30) click


기사에 인용된 논문 Link


댓글


bottom of page